스토리1

가성의 친밀감

돌체김 2014. 11. 25. 12:02

 

회식의 꽃’ 폭탄주와 노래방의 공통점

 

 폭탄주 문화는 친해야 하는 사명감과 친하고 싶지 않은 개인적 욕구

사이의 딜레마를 고비용으로 해소해 주는 솔로몬의 지혜와 같은 것이다

 

 

 

 

바야흐로 폭탄주의 계절이다. 송년모임에서 선보일 신종 폭탄주 제조법을 연구하는 직장인도 적지

않다. 주뼛주뼛 불편한 느낌이 들거나 분위기가 가라앉을 때 폭탄주는 경직된 관계를 풀어주는 효과

적인 촉매다. 다양한 사람이 만나는 낯선 자리에서 어색함을 녹이는 데 이만한 돌격대가 없는 것 같

다고 말한다.

통상 친해지려면 기억을 함께 쌓아야 한다. 많은 대화를 나누고 서로의 취향을 살피며 성격

에서의 궁합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것이 정공법이다. 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자칫 ‘함께할

사람이 못 된다’는 결론에 이를 위험도 있다. 특히 무조건 일단 ‘우리는 친하다’는 최면을 걸어야 하는 상황에선 정공법으론 한계가 있다. 

바로 이때 폭탄주가 필요한 순간이라고 한다. 일을 같이 하려면 경계심을 무장해제해야 한다는 것을 사회생활을 통해 알고 있다. 그렇다고 동창들처럼 은밀한 사담(私談)을 나누는 사이가 되고 싶지는

않다. 가까워졌다는 느낌과 개인의 정체성 유지라는 딜레마에 놓일 때 폭탄주는 편리하게 ‘가성

(假性) 친밀감’을 형성해준다는 것이다.

 


노래방이 회식의 화룡점정(畵龍點睛)으로 여겨지는 것도 이와 비슷하다. 노래방에선 사람들은 ‘우리

끼리니까 괜찮다’는 상호 용인 속에 철저히 망가질 수 있다. 작은 방에 한꺼번에 들어가 목이 쉬도록

열창하고 땀을 한바탕 흘리고 나면 그날 밤만은 ‘웬일인지 친해진 것 같다’는 찰나적 착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래방에서 직장인들은 대개 ‘부르고 싶은 노래’가 아닌 ‘불러야 할 노래’를 고른다. 퍼포먼스가 가능

하거나 함께 부를 수 있거나. 노래방의 존재 이유를 아는 것이다. 폭탄주와 노래방은 ‘사회 속의 나’

와 ‘나로서의 나’가 충돌할 때 우리가 취하는 일종의 대처법이다.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떠오리면 좋은 말  (0) 2014.12.03
인생의 장애물  (0) 2014.12.02
아버지의 눈물  (0) 2014.11.19
황금보다 궁금  (0) 2014.11.13
기억해야 할 세가지  (0) 201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