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톨스토이 성장을 말하다
- 석영종 교수 (2017.11.20)
소설 안나 까레리나, 톨스토이, 성장을 말하다.
♣ 안나+브론스키 부부
- 발전이 없는 사랑
- 욕구충족을 위한 사랑, 오래 지속될 수 없음
- 이는 행복이 사라지면 집착으로 변질
- 증오를 숨긴 사랑
- 브론스키의 증오
- 자기 증오가 자기 학대로 바뀜
- 세상을 증오함
- 이런 사랑은 성장이 없는 사랑이다.
- 변함이 없는 사랑은 순리에 어긋난다.
♣ 레빈+기티의 사랑은
- 성장하는 삶
- 물론 불만, 의심, 질투도 있지만 결국 소통하고 기쁨과 공감이 있는 삶을 영위
- 성장의 조건은 몰입 / 소통 / 죽음의 기억
- 몰입은 자기 내면 깊이 들어가는 집중 상태 / 레빈이 그렇다. / 풀베기를 통해
(나는 도보여행을 통해) / 농부들과 함께 풀베기 하기로 / 풀베기를 통해 자아의
가장 깊은 곳으로 들어간다.
- 몰입의 특징 / 시간의 흐름을 망각 / 자아의 해방감
- 몰입의 해방감 / 자아의 해방, 기쁨을 맛봄 / 잘 하려고 의식하면 더욱 어려워짐
(노래도 그렇더라)
- 무아지경 / 낫이 저절로 풀을 베는 것 같았다. / 일이 저절로 되어가는 것이었다.
/ 자아의 해방 / 지고의 행복
- 몰입을 통해 / 자아해방을 느끼고 / 그리하여 세상과의 진정한 교감을 이룰 수
있다. / 이는 농부들과의 교감을 통해 / 신비한 유대감을 느끼는 주인공
- 톨스토이는 소통을 삶의 큰 기쁨이라고 했다. / 이승에서 가장 큰 행복은 사람들
과의 융합과 일치라고 했다.
- 언어의 한계 / 아무리 말 많이 해도 소통이 되는 것은 아니다. / 말이 많으면 상대
의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것 / 그러므로 말하기보다 듣거나 보아야 한다.
- 적군 사령과의 눈빛 교환 / 침묵의 소리 응시, 중요 소통이다. / 진정한 공감은
반드시 퍼져 나간다. / 긍정적 공감은 주변에 선한 영향력을 미친다.
- 톨스토이는 죽음의 불안과 공포 넘어서고자 공부
- 죽음에 대한 분노 / 이해할 수 없는 한 가지가 죽음
- 레빈(톨스토이의 분신) / 모든 사람에게는 고뇌와 죽음과 망각밖에는 없다. / 그냥
사는 것이고 선하게 사는 것이다. / 선하게 사는 것이 죽음을 극복하는 길
- 죽음을 극복하는 것은 바로 / 죽음을 기억하는 것이다. / 이는 모순어법이다. /
아직 죽지를 않았는데 어떻게 미래를 기억하나. 이것이 모순어법이다. / 죽음을
기억하고 살아가면 현재가 소중해지고 현재가 풍요로워진다.
- 오늘 밤까지 살라. 동시에 영원히 살라. <인생의 길>
- '영원히'는 / 충만한 시간 / 풍요로운 시간 / 변화를 수용하는 삶 / 시간과 더불어
사는 것 / 그러나 변화를 거부하고 싶어하는 인간의 삶 / 어쩔 수 없는 노화의
죽음 , 죽음을 기억하면 받아들일 수 있다. / 이 모든 것을 받아들일 때 성장
- <안나 까레리나> 마지막 문장 / 나의 생활 전체는 ...... 이전처럼 무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다.
- 어떻게 살 것인가
- 성장 / 자기 의식집중 / 자기의식의 해방 통해 / 교감하고 / 소통하여야
- 왜 성장해야 하나? / 성장의 기쁨을 주기 때문 / 단순한 행복 이상 / 욕구총족적
행복과는 다름 / 수퍼 행복
- 지속적인 기쁨 / 성장은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것 / 성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 /
톨스토이가 90권이나 되는 소설을 쓰면서 전하려던 메시지가 바로 '성장' /